[책보세 365] 안녕을 잃고 너는 쓰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책보세 365] 안녕을 잃고 너는 쓰네

  • 이은진 gdaily4u@gmail.com
  • 등록 2019.05.14
  • 댓글 0

지난해 4월 남북의 두 정상이 만나 웃으며 악수하던 역사적인 순간은 분단 70년 동안 꽁꽁 얼어 다시는 안 녹을 것처럼 보였던 한반도에 해빙의 봄을 가져왔다.

휴전선을 기준으로 남북 방향 각각 2km에 설치된 철책으로 인해 왕래의 금지는 물론 서로를 향한 비방 선전으로 가득했던 그곳에 또 다른 봄이 시작되고 있다.

그동안 비무장지대였던 그곳이 ‘DMZ 평화둘레길’이라는 이름으로 2019년 4월 말부터 일반인에게 개방된다는 소식이다.

서서히 개성공단에서의 산업 활동과 금강산 관광도 재개되고 평화통일의 순간이 가까워질 것이라는 전제하에 남북한을 모두 경험한 북한 이탈 주민은 서로의 이질감을 줄이고 상호 교류에서도 큰 역할을 할 것이기에 ‘먼저 온 미래’라는 은유적 표현이 낯설지 않게 됐다.

아직도 생사 확인이 되지 않은 남북의 이산가족. 이제 노령이 되어 살아남은 이보다 세상을 떠난 이가 더 많아지고 있는 분단 70년. 이들 이산가족에게 평생의 소원은 형제, 부모, 친척과 단 한 번이라도 만나는 것이다.

아울러 분단의 세월 속에 또 다른 이산가족을 잉태한 대한민국. 마지막이 될 거로 생각하지 않고 목숨을 걸고 국경을 넘고 넘어 대한민국에 정착한 북한 이탈 청소년 중에도 북에 남은 가족, 친척, 친구는 분명 그리움의 대상인 것이다.

손편지로 꾹꾹 눌러쓴 북한 이탈 청소년들의 이야기가 당신의 가슴을 저미게 할 것이다. 그리움이라는 단어 자체가 점점 희미해져 가는 시대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북한을 탈출하는 사람이 극소수였던 시절, 그들 대부분이 군인이었기에 ‘귀순 용사’라 불렸다. 그렇지만 계층 범위가 넓어지고 숫자가 불어나면서 ‘탈북자’, ‘탈북난민’, ‘새터민’ 등으로 부르다 3만여 명에 이른 오늘날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을 ‘북한 이탈 주민’이라고 칭한다.

「우리 북동네 잘 있니?」 한겨레 중 고등학교 학생 일동편저(책틈)
「우리 북동네 잘 있니?」 한겨레 중 고등학교 학생 일동(책틈)

전국 곳곳에 둥지를 틀고 우리와 똑같이 생활하는 ‘북한 이탈 주민’이지만, 소수의 TV 프로그램과 언론사의 기사 등을 통해 이들이 살아온 환경 중 극소수만을 간접적으로 들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 프로그램과 기사 중 상당수는 시청률과 광고 집행률을 위해 선정적인 방향으로 기획되고 편집되면서 그나마 정보의 객관성마저 상실해 버린 듯하다.

지금의 북한에 대한민국의 1970년대나 1980년대 같은 열악한 환경의 지역도 존재하지만 모든 곳이 그렇지는 않다.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시장경제를 부분적으로 도입해 어쩌면 우리와 비슷한 삶을 사는 북한임에도, 우리의 내면에 자리한 상대적 우월성 때문인지 그들에 관한 정보를 외면하고 일부러라도 관심을 두지 않은 건 아닐까.

구세대는 사상이라는 반목에 잡혀 이질감을 좁히지 못할 수도 있지만, 청소년들인 신세대는 서로 간의 화합을 더 빠르게 진행할 수도 있기에 희망적이다. ‘먼저 온 미래’의 핵심 세대인 북한 이탈 청소년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무엇을 바라는지가 이 책에 담겨 있다.